[web] redis를 flask 세션 스토리지로 활용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최근 AWS에서 EKS에서 MSA를 기반으로 운영중인 웹 서비스에서 세션이 잘 유지되지 않아 로그인을 했음에도 세션이 유지되지 않고 무한 로그인 시도가 이뤄졌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생긴 문제였다.  내가 생각한 MSA 기반 아키텍처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래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Application LoadBalancer에서 sticky session을 사용하여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별도의 Session Storage를 구성하여 세션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전자와 후자를 대표적인 장단점을 이야기해보겠다.  먼저 Sticky Session은 구성과 구축이 간단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자의 방식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MSA의 장점을..
[AWS] ECS(Elastic Container Serivce)란?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Elastic Container Service Elastic Container Service(이하 ECS)란?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Amazon ECS)는 확장성이 뛰어나고 빠른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입니다. 이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에서 컨테이너를 실행, 중지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Amazon ECS에서 컨테이너는 서비스 내 개별 태스크나 여러 태스크를 실행하는 데 사용하는 태스크 정의에 정의됩니다. 이 컨테이너에서 서비스는 클러스터에서 지정된 수의 태스크를 동시에 실행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구성입니다. AWS Fargate에서 관리하는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인프라에서 태스크 및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또는 인프라에 대한 더 세부적인 제어를 위해 ..
[AWS, Docker] Docker Image build & Push ECR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Docker File을 이용하여 Docker image를 빌드하고, Elastic Container Registry(이하 ECR)에 Push할 것이다. 1. Private ECR Create & IAM ECR Public Registry vs Private Registry ECR에는 Public Registry와 Private Registry가 존재한다. 둘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Public Registry의 접근이 권한과 상관 없이 자유롭다. 하지만 그에 반해 Private Registry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며, ECR의 경우는 IAM 권한을 통해 접근을 제어한다. AmazonEC2ContainerRegistryFullAccess 를 할당한 Role 혹은 IAM User를 만들어 적..
2021 전국기능경기대회 클라우드컴퓨팅 - 1과제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inux] 나를 위한 tmux 핵심 사용법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1. tmux 설치 # Amazon Linux 2 yum install -y tmux # Ubuntu apt install -y tmux 2. 자주 쓰는 명령어 2-1. 세션 관련 명령어 # tmux session create tmux # tmux session create(set session_name) tmux -new -s # tmux session out Ctrl+b, d # tmux session exit exit # tmux session attach tmux attach-session -t # tmux session list tmux ls 2-2. 그 외 명령어 # 세션을 상하로 분리함 Ctrl+b, " # 세션을 좌우로 분리함 Ctrl+b, % # 분리된 윈도우 간의 이동 Ctrl+b,
[Linux] ssh key pair 추가, 변경
·
IT Study/AWS & Server, Network
ssh key pair 생성 PuTTYgen을 사용해서 ssh key pair(공개키, 비밀키)를 생성할 것이다. PuttyGen을 이용해서 key pair을 만든 뒤 각각 'Save public key', 'Save Private key'를 통해 공개키, 비밀키를 저장한다. *이때 비밀키는 절대로 외부에 공개되서는 안된다. 본인만 알아야 함!* ssh key 추가, 변경 ssh key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ssh/authorized_keys`에 위치한 해당 파일의 수정이 필요하다. 해당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vim, gedit, nano 등과 같은 에디터로 열어준다. 원래 파일 내용이 존재한다면, 경우에 따라 삭제하거나 추가로 작성한다. 방금 전 PuTTygen으로 생성한 공개키(public ke..
ITguny
'IT Study/AWS & Server, 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